[LG전자] 가전은 역시..
- Holder
- 2022년 10월 12일
- 2분 분량

안녕하세요 차티스트랩 팀입니다.
오늘은 LG전자의 주식 전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본적 분석
1) 사업영역에 대한 개요
(1) 모바일 사업부 철수

LG전자는 2021년 4월 5일 이사회를 통해 휴대폰 사업을 담당하는 모바일 사업부 철수를 결정했습니다.
가격 경쟁 심화 속에 만년 적자였던 모바일 사업부를 철수 하고 LG전자는 어떤 성과를 보였는 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2) 사업영역

HE: Home Entertainment - 올레드 TV, QNED Mini LED TV, 사운드바, 스피커, 프라엘 제품군 등
H&A: Home Appliance & Air Solution - 세탁기, 건조기, 냉장고, 식기세척기, 에어컨 등 생활, 주방가전
VS: Vehicle component Solutions - AVN(Audio, Video, Navigation), 텔레매틱스, ADAS, 자동차 헤드램프, 전기차 모터 등
BS: Business Solutions - 올레드 사이니지, LED 사이니지, 노트북, 모니터, 프로젝터, 로봇 등
2) 사업실적
(1) 실적 개요

"가전은 역시 LG"라는 이야기를 증명하듯 2021년 LG전자의 HE, H&A 사업 부문의 매출액은 전체 매출규모의 약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우리의 일상속에 자리잡은 건조기, 세탁기, 냉장고 같은 생활, 주방가전을 담당하는 H&A 사업부문의 매출액은 2021년 27조 1100억원 규모에서 2022년 30조 8090억원 규모로 약 13.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매출 규모 대비 영업이익률은 관계사인 LG이노텍에서 발생하는 영업이익률 대비 저조한 수준으로 보여집니다.
(2) 실적 리뷰
A. H&A 사업부
B2C는 실적이 부진했고 B2B는 선방했습니다. 원가 상승에 대응한 판매가 인상 및 시스템에어컨 B2B 수요로 호실적을 보였지만,
재고 소진을 위한 마케팅 비용 집행, 물류비 부담에 따른 비용 부담 지속되고 있습니다.
다만, 장기 계약 갱신이 예상되는 바 2023년 1분기 수익성 개선을 전망 됩니다.
B. HE 사업부
유럽의 수요 부진이 예상보다 심각했고, 상대적으로 견고했던 미국도 부진한 것으로 보입니다.
H&A 사업부와 마찬가지로 재고 소진을 위한 마케팅 비용이 적자폭 확대로 이어지게 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달러 강세 때문에 비용 부담이 가중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C. VS 사업부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이 완화 되며 추가 생산 요청을 받고 있습니다.
높은 영업이익률을 시현한 것으로 추정되며, 반도체 수급난이 다시 심해지지 않는 한 흑자 전환이 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D. BS 사업부
기대했던 성장에 부흥하지 못한 것으로 보입니다. 모니터, 노트북 등 IT사업의 부진으로 개선이 요구 됩니다.
3) 재무적 평가: 매력적인 PBR

*PBR: 주가를 주당순자산가치(EPS)로 나눈 비율을 이야기 합니다.
과거 LG전자의 PBR이 0.8배 이하로 내려갔던 시점은 모바일 사업부의 악성 적자 & 거시적 환경이 안좋았던 시기였습니다.
현재 PBR이 0.7배 수준으로 내려와 있다는 것은 LG전자의 실적 전망을 고려했을 때 매력적인 가격대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쉽게 생각하면 장부상 순자산의 가치 보다 주가가 낮다는 의미입니다.
4) 증권사 목표주가

- 2022.10.12 메리츠증권 120,000원
- 2022.10.11 하이투자증권 115,000원
- 2022.10.11 SK증권 130,000원
※ 기본적 분석은 메리츠증권 양승수, 하이투자증권 고의영, SK증권 이동주 애널리스트의 보고서를 참고했습니다.
기술적 분석
1) 추세, 지지, 저항분석

2021년 1월 22일 고점에서 부터 내려오는 하락채널을 따라 지속 하락하고 있습니다.
하락채널 속에서 단기 하락추세선이 새로 만들어졌으며, 2022년 8월 단기 하락 추세를 상방으로 이탈하여 반등을 도모 했으나 재차 하락하며 하락채널속 움직임을 지속 하고 있습니다.
2022년 상반기 114,000 ~ 115,500 가격대에서 지지를 하기 위해 노력한 흔적을 볼 수 있으나, 미국발 금리인상이 심화되면서, 지지구간을 하방으로 크게 이탈했습니다.
이후 2020년 하반기에 형성되어 있던 매물대(86,000 ~ 92,900)와 하락채널 하단 부근에서 반등을 시도했으나, 매도압박을 이겨내지 못하고 단기 하락추세 밑으로 밀려들어온 모습니다.
하방의 지지구간은 73,100원, 66,300원 부근입니다.
2) 패턴 분석

하락채널 속 폴링웻지(하락쐐기) 패턴을 보이고 있습니다.
하락쐐기형 패턴을 하락추세에서 상승으로 추세가 전환될때 발생하는 패턴으로 확률적으로 상승전환의 가능성을 더 높게 봅니다.
따라서, 2022년 1월 부터 내려오는 하락추세선을 재차 돌파해줄 경우 추세전환의 신호탄으로 볼 수 있습니다.
3) 시나리오에 따른 트레이딩 전략
(1) 추가하락이 나올 경우

진입: 73,100원
손절: 66,300원
익절 1차: 86,000원 2차: 92,900원 3차: 105,100원
(2) 현재 자리에서 반등할 경우

진입: 파란색 음영의 영역을 상방으로 이탈해준 뒤, 점선의 추세선에서 조정을 받고 86,000원 가격대가 지지선이 되는 것을 확인하고 진입
손절 : 77,200원
익절: 105,100원
• 디스코드 : https://discord.gg/8uFBFvnQAt (공개신호)
• 오픈 카카오톡: https://open.kakao.com/o/gKPJMCad (비밀번호: master)
• 바이비트 : https://partner.bybit.com/b/chartistlab (수수료 20%할인)
※ 본 포스팅의 정보는 투자권유 목적이 아니며 투자의 책임은 항상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대박! 기대하고 있었는대 너무 좋은 분석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