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차티스트랩 팀입니다。
오늘은 1년 내내 주가가 부진한 펄어비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본적 분석
1) 개요

펄어비스는 2010년에 설립되어 게임을 제작/서비스 하는 회사입니다.
2015 년 MMORPG PC 게임 ‘검은사막’ 출시했으며, 2018 년 ~ 2019 년 모바일/콘솔로 확장했습니다.
운영 중인 게임으로 “검은사막”, “검은사막 모바일”로 신작의 신규 런칭을 통해 성장의 모멘텀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2017년 9월 18,550원으로 KOSDAQ에 상장했으며, 2021년 기업의 실적은 매출액 4038억원, 영업이익 430억원, 당기순이익 594억원으로 2020년 대비 감소한 실적을 보였습니다.
주가의 흐름은 신작발표의 지연으로 성장 모멘텀이 뚜렷하게 보이지 않아 우하향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2) 영업실적 및 주요 투자지표

2Q22 연결영업실적은 매출 940억원(qoq 2.8%), 영업이익 -42억원(qoq 적전)으로서 전분기 대비 매출은 소폭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적자 전환하는 등 부진했습니다.
매출의 증가는 검은사막 PC 및 콘솔의 매출이 반등했고 4/26 론칭한 검은사막 모바일 중국 매출이 신규로 발생했기 때문이지만, 검은사막 모바일 중국은 2Q22 일평균 매출이 3억원에도 미치지 못할 것으로 추산되는 등 흥행실패하였습니다
영업이익이 전분기 대비 적자 전환한 것은 인건비와 마케팅비의 급증에 따른 것으로 일회성인 인센티브 지급, 마케팅 비용 확대에 따른 결과로 보입니다.
따라서, 2022년 3분기 실적 발표시 수익성 개선은 필수적인 상황으로 보입니다。
3) 신작 론칭일정

(1) 블랙 클로버(신작 2022년 하반기)
일본 애니메이션 기반 수집형 RPG 모바일 게임이다.
넷마블 대작인 ‘일곱개의 대죄’ 개발진이 참여한 만큼 원작 스토리 구현력, 그래픽 등이 우수한 편으로 넷마블에서 서비스 중인 모바일게임 일곱개의 대죄 추정 일매출은 5~8 억원이며, 블랙 클로버의 일매출은 2.5 억원으로 추정한다.
(2) 붉은사막(신작 2023년 상반기)
오픈월드 액션어드벤처 콘솔/PC 게임으로 북미/유럽 시장을 목표
패키지 판매 외 인게임 아이템/아바타 판매를 통해 지속적인 매출이 기대
흥행했던 콘솔 대작들의 누적 판매량 800~1000만장을 감안했을 때 붉은사막도 누적 600 만장 이상 판매될 경우 장당 7.2만원 기준 매출액 4,320 억원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
(3) 도깨비(신작 2024년 상반기)
유저의 높은 자유도를 구현한 오픈월드 메타버스 게임이다.
메타버스(현실 세계와 유사한 가상공간) 게임이기 때문에 타 업체들로부터 광고 또는 유통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판단
또한 아이템 중 한정판 또는 희귀 아이템을 NFT 형태로 도입해 유저가 소유권을 갖고 거래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
4) 증권사 의견 및 목표주가

- 2022/8/11 SK증권 69,000
- 2022/8/12 한화투자증권 65,000
- 2022/8/12 유진투자증권 70,000
- 2022/8/12 이베스트투자증권 54,000
3분기 실적 개선의 결과를 보고 4분기 신작 런칭 결과까지 살펴보아야 추세전환을 그려볼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기술적 분석
1) 추세, 지지분석(주봉)

추세 - 상승추세선: 코로나 저점부터 낮은 추세각으로 올라오는 추세선은 주가가 장기 우상향을 위해서 지켜주었어야 하는 추세선이었으나、하방으로 이탈하였습니다。 - 하락채널: 고점에서 내려오는 하락채널 속에서 하락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지지, 저항 - 45000~46150 가격대의 지지선에 닿아 있는 상태로 반등을 보여주지 못하면 하방 이탈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2)피보나치 분석(일봉)

코로나 저점에서 2021년 11월 17일 고점까지의 상승파동에 피보나치 되돌림 비율 기준으로 0.886 가격인 44,350원이 반등에 대한 마지노선으로 보임.
하락 추세기반 피보나치 확장 도구로 1:1.272 ABCD 인 45,250원 부근까지 도달했으며, 단기 반등을 노려볼 수 있음.
3) 포지션 셋업(시나리오)
(1) 한번 더 하락을 할 경우

- 진입: 39,200원
- 익절: 53,000원(3분기 실적발표에서 수익개선이 이루어지지 않는 다면, 손절가격까지)
- 손절: 35,450원
(2) 현재 자리에서 반등할 경우

- 진입: 현재가
- 익절: 53,350원
- 손절: 38,850원
• 디스코드 : https://discord.gg/8uFBFvnQAt (공개신호) • 바이비트 : https://partner.bybit.com/b/chartistlab (수수료 20%할인) ※ 본 포스팅의 정보는 투자권유 목적이 아니며 투자의 책임은 항상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기본적 분석에 참고한 보고서는 2022.08.11~12 SK증권 이소중, 한화투자증권 김소혜, 유진투자증권 정의훈, 이베스트투자증권 성종화 애널리스트의 보고서를 참고했습니다.
Comments